커뮤니티

제목바이러스 Part 142024-04-02 17:46
작성자 Level 10

shutterstock_1549553636-1.jpg

그림 1. 정상적인 뇌 노화란 무엇인가?

출처 https://altoida.com/blog/what-is-normal-brain-aging-understanding-structural-and-functional-changes/

 

1. 노화(aging)

 

막연할 수도 있는 개념인 노화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 및 활동 감소 그리고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 저하로 표현된다.1)2) 이는 세포 기능의 점진적인 상실을 의미하며세포의 기능 상실은 보다 큰 범주인 조직과 장기(臟器)의 기능 손상을 유발하여 결국 사망 가능성의 상승으로 이어진다.3)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에너지원인 ATP4)의 생산자이자,5) 중요한 신호전달 물질인 활성산소(ROS)6)7)8)9)10)11)12)의 생산자이기도 하다.13)14)15) 미토콘드리아는 세포 사멸을 결정하고,16)17) 세포 대사18) 및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조절하며,19)20) 자가포식21)22) 및 선천면역23)24)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하고,25)26) 환경 신호에 대한 세포의 빠른 적응을 유도한다.27)28)

 

적혈구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헴단백질29)의 합성도 미토콘드리아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30) 콜레스테롤을 재료로 스테로이드 호르몬31)을 합성하는 일도 미토콘드리아가 크게 관여한다.32)33) 세포핵과 긴밀한 의사소통34)을 하며 핵 DNA의 전사 및 발현을 조절하는 것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중요한 역할이다.35)36)

 

이렇게 다양한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연령에 따라 쇠퇴하므로 노화란 단순한 연령의 증가가 아닌세포 생화학 조절의 허브인 미토콘드리아37)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하는 다양한 인체 대사의 장애를 의미한다고 말할 수 있다.38)39)

 

학계는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고령자의 기저질환이라고 불렀던 암,40) 신경퇴행성 질환,41) 심혈관 질환,42) 뇌혈관 질환,43) 대사 증후군44) 등 노화와 함께 증가하는 연령 관련 질병45)의 발병과 악화의 중심에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가 있음을 확인했다.46)47)48)49)50)

 

물론 노화를 단순히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학계는 2013년 노화의 특징을 게놈 불안정성 증가’, ‘텔로미어 단축’, ‘후성유전학적 변화’, ‘단백질 항상성 상실’, ‘영양분 감지 능력의 둔화’,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줄기세포 기능 저하’, ‘세포 노화’, ‘세포 통신의 변경’ 등 9개의 세부 항목으로 정리했다.51)52)


11357_2021_365_Fig1_HTML_14795.jpg
그림 2. 노화에 대한 미토콘드리아의 기여

출처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492883/

 

이 경우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는 여러 가지 노화의 특징 중 하나에 불과한 것처럼 보인다하지만 9가지 노화의 특징들은 각각 별개의 항목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얽혀 상호 간에 영향을 주고 하나가 다른 특징들을 규제하며그중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는 다른 모든 특징에 공통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면 생각이 달라진다.53)54)55)

 

따라서 생명 유지와 노화그리고 연령 관련 질병의 발병에 미토콘드리아가 중심 역할을 한다는 것은 현시대 학계의 중론으로 특별한 이견이 없다그런데 이렇게 중요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장애는 꼭 고령자에게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특히 최근 들어 암,56)57) 심혈관질환,58)59) 뇌혈관질환,60) 신경퇴행성질환,61) 대사 증후군62) 등 연령 관련 질병의 발병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는 보도가 끊이지 않는다.

 

이는 꼭 고령이 아니라도 고령과 관련이 있는 어떤 요소가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과연 그것은 무엇일까?

 

2. 데자뷰(déjà vu)

 

노화는 인체 조직에 대한 산소공급의 감소와 이에 따른 조직 내부의 산소량 감소로도 표현할 수 있다.63) 폐와 심장을 통해 산소를 받아들이고 전신으로 보내는 심폐기능64)은 연령 증가와 함께 쇠퇴한다.65)66)67)68)69) 심폐기능의 저하는 신체 각 조직이 요구하는 만큼의 산소를 보내지 못하는 상태인 저산소증(hypoxia)’70)을 초래할 수 있다.

 

산소의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발생하는 저산소증은 뇌신경계,71)72)73) 골격근,74)75) 지방조직,76)77) 심혈관,78) ,79) ,80)81) 신장82)83) 등 각종 조직과 장기에 영향을 미치고그 결과 암,84) 심혈관질환,85) 뇌혈관질환,86) 신경퇴행성질환,87) 대사증후군88) 등 연령관련 질병을 유발하거나 악화한다.89)


Age_Specific_SEER_Incidence_Rates_2003-2007.svg.png

그림 3. 연령 관련 질병의 발병 연령. 


그런데 저산소증으로 발생하는 이러한 질병은 앞에서 설명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로 발생하는 연령 관련 질병과 같은 질병들이다그렇다면 저산소증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뜻인데 둘 사이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우리가 숨을 들이쉬면 공기가 폐로 들어온다들어온 공기 중 산소의 1/4 정도는 폐를 지나가는 혈액에 녹아들고 나머지 3/4은 숨을 내쉴 때 다시 밖으로 나간다폐에서 산소를 실은 혈액은 심장으로 향하고 심장은 그 혈액을 전신 각 조직으로 펌프질한다.90)

 

인체 각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는 혈액에 실려 온 산소를 받아들여 세포 내부에 있는 미토콘드리아에 전달한다미토콘드리아는 공급받은 산소와 음식으로 섭취한 영양분을 이용하여 각 세포가 사용할 에너지(ATP)를 생산한다미토콘드리아는 우리가 들이 쉰 산소의 95%를 에너지화폐인 ATP를 생산하는 데 사용한다.91)

 

외부에서 들어오는 산소양이 부족해지거나 폐에서 혈액에 산소를 잘 녹이지 못하는 경우심장의 펌프질에 문제가 생겨 혈액을 제대로 보내지 못하거나혈관이 좁아져 혈류의 진행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에 산소가 그것이 오기를 기다리는 인체 곳곳의 조직과 장기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92)93)

 

산소가 부족해지면 미토콘드리아 기능에 변화가 생기고에너지 생산에 차질을 빚는다.94) 미토콘드리아가 세포가 요구하는 에너지를 공급하지 못하면 세포는 생명을 유지하지 못하고 죽음을 맞이한다.95) 이렇듯 저산소증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는 때로 원인과 결과가 되는 상호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96)97)98) 그래서 저산소증으로 유발하는 질병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로 발생하는 질병이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3. 산소(oxygen)


11357_2021_365_Fig3_HTML.jpg

 그림 4. 노화에 대한 에너지학적 관점.

출처 :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492883/ 


나이가 들면 심폐기능이 저하되어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능력이 떨어지고미토콘드리아의 기능도 감퇴되어 산소와 영양분을 재료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능력도 예전만 못하게 된다마치 오래된 휴대폰의 배터리처럼 100% 충전도 잘 안되고완전히 충전을 해도 새 제품처럼 오래 사용할 수 없다.99) 저산소 상태의 지속은 인체의 항상성을 붕괴하고 이로 말미암아 신체 각 조직은 본연의 온전함과 기능을 잃어간다.100)

 

그런데 꼭 나이가 들지 않아도 우리는 언제든 저산소 상태에 노출될 수 있다산소가 부족한 높은 산에 올라갈 수도 있고안 하던 운동을 해서 급격히 산소 요구량을 늘릴 수도 있다공기의 통로가 좁아져 코골이가 심해지면 수면 무호흡증에 시달릴 수도 있고급격한 체중 증가로 거동에 필요한 산소량이 늘어나 상대적 저산소 상태에 빠질 수도 있다수영장에서 잠수를 한다고 일부러 숨을 참을 수도 있고고민에 빠지거나 공부에 심취해 뇌의 산소 소비량을 극도로 늘릴 수도 있다공포에 질려 숨이 갑자기 안 쉬어질 수도 있고평소 안 쓰던 마스크를 써서 들어오는 산소를 애써 막을 수도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시도 때도 없이 죽음의 문턱을 넘나드는 건 아니다우리 몸은 다양한 산소 수준에 노출되거나 공급되는 산소량이 동적으로 변하더라도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산소 감지 센서를 갖추고 있다.101)

 

그중 중요한 센서 몇 가지를 소개하면,

첫 번째는 193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코르네유 하이만스(Corneille Heymans)102)가 발견한 경동맥소체(carotid body)’103)이다.


physrev.00039.2019_f001_겨동맥소체_14874.jpg

그림 5. 경동맥소체와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 

 

경동맥소체는 뇌로 혈액이 올라가는 길목인 경동맥 분지에서 혈액에 녹아 있는 산소량과 이산화탄소량그리고 혈액의 산성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경동맥소체는 혈액 내 급격한 산소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신경 신호로 바꿔 뇌에 보고한다뇌는 이 신호를 받아 자율신경계를 조절하여 호흡량과 심박수에 변화를 주고혈관의 직경을 조정하는 등 급격한 저산소 환경에서 인체가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응반응을 유도한다.104)

 

그다음 둘째는 2019년 수상자인 그레그 L. 세멘자(Gregg L. Semenza)105)가 발견한 저산소증 유도인자(hypoxia-inducible factor, HIF)’106)107)이다.

 

경동맥소체가 급격한 산소량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신호체계라면 저산소증 유도인자(HIF)는 저산소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세포가 그러한 상황을 감지하여 적응하도록 유도하는 신호체계이다.108)109)110)111) 몸을 구성하는 세포는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모두 고유의 산소 감지 센서인 HIF를 가지고 있으며112) 이것은 세포 대사세포 성장 및 사멸세포 증식에너지 생산면역 반응종양 형성 및 전이를 포함한 여러 과정에 참여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DNA 발현을 조절한다.113)

 

마지막으로 소개할 산소 센서는 2022년 수상자인 스판테 페보(Svante Pääbo)114)의 연구 주제인 미토콘드리아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인체에 들어오는 산소의 최종 소비자로 산소량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므로 학계는 미토콘드리아의 산소 감지 능력을 오랫동안 의심해왔다하지만 미토콘드리아가 산소를 감지하여 일으키는 연쇄반응에 대한 명확한 기전을 설명하지 못해 그러한 의심은 이론으로 발전하지 못한 채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115) 그러나 저산소 상태에서 미토콘드리아가 생산하는 활성산소의 양이 증가하고 이 활성산소가 신호물질로 작용하여 저산소증 유도 인자(HIF)의 발현 및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116)117)118) 미토콘드리아가 체내 산소량을 감지하는 센서로 인정받기 시작했다.119)120)121)

 

4. 기저질환(underlying disease)

 

산소는 우리 생명의 원천122)이고 미토콘드리아는 그것을 현실화하는 매개체이다.123) 나이가 들며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 자연의 이치인지 신의 섭리인지 논하는 것은 큰 의미는 없다고 본다중요한 사실은 어떻게든 그 일이 일어난다는 것이다.124)

 

그 일을 늦추고 싶다면 우리는 코로 마시는 산소와 입으로 먹는 영양분의 균형을 유지하고 두뇌와 몸을 사용하여 미토콘드리아가 만들어낸 ATP를 적시에 소비해 미토콘드리아에게 생존의 필요성을 끊임없이 인식시켜야 한다.125)126)127)

 

호흡과 식이(食餌그리고 활동의 조화가 깨질 때 미토콘드리아는 살아야 하는 의미를 잃고 스스로 무너진다.128)129) 미토콘드리아가 제 기능을 못하면 비록 숫자적 나이는 젊더라도 늙은 사람이 되며,130) 한참 뒤에 겪어도 못마땅할 암,131) 심혈관질환,132)133) 뇌혈관질환,134) 신경퇴행성질환,135)136) 대사증후군137)을 이른 나이에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질병들이 젊은 나이에 온다는 것은 우리의 얼굴에 주름이 지기 전에이미 우리의 몸우리의 장기우리의 조직우리의 세포우리의 게놈이 속속들이 노화한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세월이 흘러야 나이를 먹는다고 생각한다하지만 시간은 숫자에 불과할 뿐 몸의 노화는 세월을 기다리지 않는다누군가 이러한 질병을 겪고 있다면 그 사람은 더 늙어 겪을 질환을 일찍 경험한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몸과 장기조직과 세포그리고 게놈이 이미 늙은 것이다.

 

이러한 노화와 기저질환의 중심에 미토콘드리아가 있고그 핵심에 산소가 있다인체가 항상성 유지를 위해 개발한 산소 감지 시스템은 산소가 부족한 경우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지 젊음을 보존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아무리 좋은 센서를 갖고 있어도 산소가 부족한 환경이 장시간 지속되면 생명은 유지할 수 있을지라도 젊음을 누릴 수 없고 끝내 찾아오는 질병 또한 피할 수 없다.

 

결국 우리가 고령자의 기저질환이라 말하는 연령 관련 질병이란 나이와 관계없이 산소 부족 상태가 장시간 이어질 때체내 항상성이 무너지고 미토콘드리아 기능이 변경되어 각종 대사 장애가 발생하고 저산소 신호(HIF)가 게놈에 개입하여 유전자 발현을 변경한 상태라 말할 수 있다.138)139)140)141)142)143)

 

그런데 갑자기 엄청난 반전이 일어난다. 분자 생물학과 유전학의 발전으로 의학이 게놈 혁명의 시대를 맞이할 즈음 학계는 전 인류가 피할 수 없는 노화의 문제, 저산소의 문제, 미토콘드리아의 문제를 단박에 해결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학계는 두 가지 강력한 수단을 제시했는데, 그 중 하나는 바이러스’였고 다른 하나는 ‘mRNA 백신이었다.

 


==========================(15편에 계속) 

 

참고)

미토콘드리아가 생산하는 에너지 화폐인 ATP의 개념이 어렵다는 분들이 있다. ATP란 세포가 사용하는 돈으로우리가 실생활하면서 사용하는 돈과 똑같다고 봐도 된다우리가 살아가는 데 돈이 필요하듯세포도 생명을 유지하는 데 돈이 필요하다.

 

우리는 본능적으로 숨을 쉬고음식을 먹는다호흡을 통해 들어온 산소와 섭식을 통해 들어온 영양분은 ATP의 재료이다우리가 먹은 음식을 세포에서 바로 에너지로 쓰면 참 좋겠지만 밥과 반찬은 아무리 잘게 쪼개도 세포가 바로 사용하기는 어려운 형태이다.

 

그래서 우리 몸은 음식으로 섭취한 영양분을 언제든 사용하기 편리한 ATP란 물질로 바꾼다미토콘드리아는 그 일을 하는 세포 내부의 공장이고 그 재료가 산소와 포도당(탄수화물)이다.

 gold-ore-found-in-a-dark-mine-representing-pure-gold_410516-6711.jpg

그림. 금광석. 출처 : https://kr.freepik.com/premium-photo/gold-ore-found-in-a-dark-mine-representing-pure-gold_40535268.htm


이 내용이 어렵다면 이렇게 생각해보자우리가 먹은 음식은 광산에서 캔 금광석(금이 박힌 돌)과 같다금광석이 아무리 가치 있어도 식당에서 밥을 먹고 돈 대신 금광석을 낼 순 없다그것을 돈처럼 사용하려면 금 공장에 금광석을 팔고 언제든 사용가능한 을 받아야 한다이 이야기에서 금광석은 우리가 먹은 영양분이고 은 ‘ATP’이며, ‘금 공장은 미토콘드리아를 의미한다.


========================== 

[참고문헌]

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580208/

노화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많은 진전이 있었지만 해결되지 않은 문제도 많습니다

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246372/

세포 노화 및 노화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3) https://ncbi.nlm.nih.gov/pmc/articles/PMC5748716/

노화와 연령 관련 장애의 미토콘드리아 기초

4) https://en.wikipedia.org/wiki/Adenosine_triphosphate

ATP(Adenosine triphosphate)

5) https://en.wikipedia.org/wiki/Mitochondrion

미토콘드리아

6)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213231715001160

활성 산소종과 미토콘드리아세포 항상성의 결합

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634671/

유기체 항상성에서의 미토콘드리아 ROS 신호 전달

8) https://en.wikipedia.org/wiki/Reactive_oxygen_species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ROS)

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98438/

미토콘드리아 과산화물 신호는 예쁜꼬마선충( Caenorhabditis elegans) 의 수명 연장을 유발합니다

10) https://physoc.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113/expphysiol.2006.033506

복합체 III에서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산소 감지저산소증 동안 증가된 활성산소종의 역설

1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50107/

O 2 감지미토콘드리아 및 ROS 신호안개가 걷히고 있습니다.

1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323058/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종과 암

1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605959/

미토콘드리아가 활성산소종을 생성하는 방법

1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316843/

활성산소 생성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과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시사점

15) https://journals.biologists.com/jeb/article/224/5/jeb221606/237509/Are-mitochondria-the-main-contributor-of-reactive

미토콘드리아가 세포 내 활성산소종의 주요 기여자인가?

16) https://en.wikipedia.org/wiki/Apoptosis

Apoptosis

17) https://pubmed.ncbi.nlm.nih.gov/8689682/

무세포 추출물에서 세포사멸 프로그램 유도: dATP 및 시토크롬 c에 대한 요구사항

1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541229/

세포 대사에 대한 미토콘드리아의 다각적 기여

19) https://physoc.onlinelibrary.wiley.com/doi/10.1113/JP281833

건강과 질병에 관한 미토콘드리아의 신비를 풀다

2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33290/

ALS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세포 내 칼슘 조절 장애

21) https://en.wikipedia.org/wiki/Autophagy

자가포식, Autophagy

2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088644/

자가포식 동안 미토콘드리아는 신장되어 분해를 방지하고 세포 생존력을 유지합니다.

23)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59455/

선천면역계, Innate immune system

2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281487/

선천성 면역 반응의 미토콘드리아

25) https://www.nature.com/articles/s12276-023-00973-7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의 동향과 전망

2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541229/

세포 대사에 대한 미토콘드리아의 다각적 기여

2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300468/

미토콘드리아 RNA 변형은 전이에서 대사 가소성을 형성합니다

2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023480/

의학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부상

29) https://en.wikipedia.org/wiki/Heme

Heme

3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538026/

미토콘드리아와 철현재 질문

31) https://en.wikipedia.org/wiki/Steroid_hormone

스테로이드 호르몬

3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989693/

미토콘드리아 콜레스테롤산화환원 생물학 및 질병에 대한 대사 및 영향

33)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303720713001597?via%3Dihub

미토콘드리아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

34) https://en.wikipedia.org/wiki/Crosstalk_(biology)

Crosstalk (biology)

3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449269/

핵과 미토콘드리아 사이의 DNA 손상 관련 누화

3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304746/

암 진행의 잠재적인 바이오마커로서 미토콘드리아 이형질 이동

3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731593/

미토콘드리아세포 생화학 조절을 위한 허브새로운 개념과 네트워크

3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003832/

미토콘드리아 노화와 미토콘드리아의 연령 관련 기능 장애

3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627182/

노화와 노화로 인한 질병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4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950268/

암 진행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의 역할

4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569145/

인간 뇌의 미토콘드리아 핵 혼선은 세포 유형에 따라 조절되고 신경퇴행성 질환에 영향을 미칩니다

4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44641/

심혈관 질환에서 미토콘드리아의 역할

4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149841/

대뇌 혈관 제어의 미토콘드리아 메커니즘사전 조건화를 통한 공유 신호 경로

44)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2544392030185X?via%3Dihub

대사증후군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45) https://en.wikipedia.org/wiki/Aging-associated_diseases

노화 관련 질병 Aging-associated diseases

4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956216/

미토콘드리아 DNA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미토콘드리아 미세단백질과 mtDNA 변이체는 운동 능력과 연령 관련 질병을 조절합니다

4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648491/

COVID-19 질병의 핵심 요소인 연령 관련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4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835331/

COVID-19가 노화 및 연령 관련 질병의 미토콘드리아 기반 면역에 미치는 영향

49) https://www.nature.com/articles/s43587-022-00191-2

노화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의 다발성 효과

50)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378111905001745?via%3Dihub

미토콘드리아와 핵 사이의 게놈 간 혼선은 종양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836174/

노화의 특징

5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044767/

노화의 특징과 산화 스트레스의 역할

5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726203/

생명나무 전반에 걸친 노화의 특징 통합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에 초점

5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774040/

노화모든 길은 미토콘드리아로 이어진다

5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492883/

제로사이언스에 대한 에너지학 관점미토콘드리아 양성자력과 노화

56) https://www.yna.co.kr/view/AKR20221017105400505

[OK!제보암 환자 젊어지는데"경력단절에 구직 어려워"

57) https://m.healthcaren.com/news/news_article_yong.jsp?mn_idx=474606

만성질환발병 연령 낮아져건강검진으로 예방해야

58) https://www.hani.co.kr/arti/society/health/866507.html

심장 위협하는 가을철 일교차40대부터 주의해야

59) https://www.snubh.org/intro/news/snubhStory/view.do?BNO=35&cPage=1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가슴을 뛰게 하는 사람들

60)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8715

"젊다고 안심하면 안 돼"'젊은 뇌졸중발병 연령대 낮아져

61) http://www.mediadale.com/news/articleView.html?idxno=36080

치매의 발병연령이 낮아지고 있다

62)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1042302460

젊은 남성'들이 위험하다… 대사증후군 유병률 급증

6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543034/

노화에 따른 저산소증 대사

64) https://en.wikipedia.org/wiki/Cardiorespiratory_fitness

심폐기능, Cardiorespiratory fitness

6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783621/

심근 ATP 공급 및 수요 메커니즘의 연령 관련 변화

6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226975/

단백질 및 미토콘드리아 품질 관리 메커니즘 및 심장 노화

6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154449/

노화된 심혈관계의 혈관 경직 및 맥압 증가

68)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569904813000918

노화된 호흡계폐 구조기능 및 신경 제어

6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975246/

최대 산소 섭취량의 연령 관련 감소단면적 대 종단적 결과리뷰

70) https://en.wikipedia.org/wiki/Hypoxia_(medicine)

저산소증(hypoxia)

71) https://en.wikipedia.org/wiki/Cerebral_hypoxia

대뇌 저산소증

72)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68163721000908

저산소증과 뇌 노화신경변성인가신경보호인가?

7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810176/

CNS의 시냅스 신호에 대한 저산소증과 염증의 영향

7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260947/

골격근 유지 및 재생의 저산소 신호체계적인 검토

7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518201/

저산소증은 근육 기능을 손상시키고 조직 공학 골격근의 근관 크기를 감소시킵니다

7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275102/

노화는 지방 조직의 저산소증 및 산화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습니다지방 기능에 대한 영향

7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176724/

만성 간헐적 저산소증은 인간의 백색 지방세포에서 노화와 유사한 표현형을 유발합니다

78) https://www.nature.com/articles/s41392-023-01652-9

심혈관계의 저산소증 유발 신호 전달병인 및 치료 목표

7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433143/

저산소증에 의한 폐 산화 손상

80) https://www.mayoclinicproceedings.org/article/S0025-6196(11)61235-4/fulltext

저산소성 간 손상

8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075010/

저산소성 간염검토 및 임상 업데이트

8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851450/

저산소증만성 신장 질환을 유발하는 힘

83) https://www.thelancet.com/journals/ebiom/article/PIIS2352-3964(22)00126-8/fulltext

저산소증과 만성 신장 질환

8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045092/

암 진행혈관 신생전이 및 치료 저항성에 있어서 저산소증의 역할

8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727448/

큰 전도도칼슘 및 전압 활성화 칼륨 채널의 저산소 조절

86) https://academic.oup.com/ageing/article/31/suppl_2/10/39830

저산소증과 뇌졸중

8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355741/

허혈성 뇌졸중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저산소증 유도 인자(HIF)

8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388878/

만성 간헐적 저산소증은 지방 조직 조절 완화와 독립적으로 초기 단계의 대사 장애를 유발합니다

8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330578/

노화 및 노화 관련 질병의 저산소증메커니즘 및 치료 전략

91)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4110/ 

조직 산소화의 조절. 6장 조직의 가스 수송

92) https://www.mayoclinic.org/symptoms/hypoxemia/basics/causes/sym-20050930

Mayo clinic, 저산소혈증

93)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82316/

저산소증

94)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05272810000575?via%3Dihub#bib1

저산소증과 미토콘드리아 산화 대사

95)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179/135100099101534846

미토콘드리아삶과 죽음의 비밀을 밝히다

9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855368/

저산소증 유도 인자 1과 미토콘드리아친밀한 연결

97) https://www-sciencedirect-com-ssl.openlink.inha.ac.kr:8443/science/article/pii/S0048969721063063

저산소증은 Cirbp 감소에 의해 매개되는 방식으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뇌 기억 장애를 유발합니다.

9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869508/ 

심혈관 질환 및 암에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염증에 대한 저산소증 신호의 상호작용분자 메커니즘에서 치료적 접근까지

9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492883/

제로사이언스에 대한 에너지학 관점미토콘드리아 양성자력과 노화

100)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68163721000143

숨 쉴 것인가말 것인가? : 산소 감지가 연령 관련 표현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이해

10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05272807002496

상황에 맞는 산소 센서

102) https://en.wikipedia.org/wiki/Corneille_Heymans

코르네유 하이만스

103) https://en.wikipedia.org/wiki/Carotid_body

경동맥소체

10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526340/

경동맥체 화학수용체생리학병리학건강과 질병에 대한 영향

105) https://en.wikipedia.org/wiki/Gregg_L._Semenza

그렉 L. 세멘자

10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6495/

저산소증에 대한 전사 반응에서 저산소증 유도 인자 1의 일반적인 관련.

107) https://en.wikipedia.org/wiki/Hypoxia-inducible_factor

저산소증 유도인자, Hypoxia-inducible factor

10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884626/

만성 저산소증에서 적응성 심장 대사기전 및 임상적 의미

109)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570963913003580

만성 저산소증은 인간 대식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구성을 변경합니다

11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778753/

만성 간헐적 저산소증은 지방 안지오포이에틴 유사 4의 활성화를 통해 죽상경화증을 유발합니다.

11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734089/

만성 지속 및 간헐적 저산소증에서 정상 산소 상태로 돌아온 후 적혈구 생성 조절

112)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50413108003185

대사의 교차점에 있는 산소 센서

11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261907/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서 저산소증 신호치료제에 대한 의미 및 전망

114) https://en.wikipedia.org/wiki/Svante_P%C3%A4%C3%A4bo

스반테 페보

11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342894/

미토콘드리아와 산소 감지논쟁을 부채질하다

116) https://www.jbc.org/article/S0021-9258(19)62067-3/fulltext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I에서 생성된 활성산소는 저산소증 동안 저산소증 유발 인자-1α를 안정화시킵니다

11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1706/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 종은 저산소증 유발 전사를 유발합니다

118) https://physoc.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113/expphysiol.2006.033506

복합체 III에서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산소 감지저산소증 동안 증가된 활성산소종의 역설

11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4750107/

O2 감지미토콘드리아 및 ROS 신호안개가 걷히고 있습니다.

12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074833/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I는 단핵구에서 뚜렷한 산소 감지 메커니즘을 조절합니다

121)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05272822003814

특수 세포에서 급성 저산소증을 감지하는 미토콘드리아 통합 메커니즘이 있습니까?

122) https://febs.onlinelibrary.wiley.com/doi/10.1016/j.febslet.2007.06.018

생명과 스트레스의 근원산소

123)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26894/

세포의 분자생물학. 4미토콘드리아

124) https://pubmed.ncbi.nlm.nih.gov/9951612/

우리가 나이를 먹는 방법과 이유

125)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110831/

신체 운동미토콘드리아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도구

12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542544/

미토콘드리아 생리학에 대한 식이요법의 영향(검토)

12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036520/

노화와 인지에 있어 식이요법과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의 상호 작용

12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156559/

미토파지와 산화 스트레스노화의 역할

129) https://www.nature.com/articles/s42255-023-00930-8\

인간의 건강노화 및 질병에서의 미토파지

13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454846/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를 통한 염증 노화 촉진메커니즘 및 분자 표적

13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473831/

간세포 암종의 미토콘드리아 품질 관리

13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395499/

심장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품질 관리심장 세포 손상 및 질병의 메커니즘 및 역할

13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657886/

건강 및 심혈관 질환의 미토콘드리아 품질 관리

134)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831937/

뇌졸중의 미토콘드리아 품질 관리메커니즘부터 치료 가능성까지

135) https://www.nature.com/articles/nature05292

신경퇴행성 질환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및 산화 스트레스

136)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633545/

미토콘드리아 품질 관리 전략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 목표?

13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5053262/

대사 건강의 결정 요인인 미토콘드리아 품질 관리 경로

138)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586788/

저산소증과 노화

139)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9330578/

노화 및 노화 관련 질병의 저산소증메커니즘 및 치료 전략

14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016968/

저산소증-유도 인자-1α혈관 노화에서 내피 세포 노화의 주요 조절인자

14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355741/

허혈성 뇌졸중 및 신경퇴행성 질환의 저산소증 유도 인자(HIF)

14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7375027/

저산소증 관련 심혈관 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 표적: HIF-1의 역할

143)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624429/

대사질환에서 저산소증 유도 인자의 역할